돈버는 일상생활

대학생 월 20만 원 지원,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자격 확인하기

돈-나무 2025. 2. 4. 22:05

 

 

어제 졸업식을 한 것 같은데 벌써 새로운 시작을 준비할 시간이 되었습니다, 바로 대학 입학 준비입니다.

 

하지만 입학 준비할 때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주거 문제입니다.

 

본가에서 통학하면 좋겠지만, 다른 지역으로 대학을 진학하면 주거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입니다.

 

월세, 관리비 등 관련 비용이 부담되는 학생들과 학부모를 위해 나라에서 "주거안정장학금"이라는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처음 시행하는 만큼 제도를 아시는 분들이 많이 없기에  부족하지만 아는 정보를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주거안정장학금이란?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본가에서 나와 다른 지역 대학으로 진학하는 기초·차상위 대학생의 주거비를 지원하기 위해

 

2025학년도부터 주거안정장학금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지원 대상 및 요건

  • 기초·차상위 대학생 중 원거리 통학이 어려운 학생
  • 학생이 소속된 대학이 본 사업에 참여해야 함 (총 255개 대학 참여)
  • 원거리 기준 : 부모님의 주소지와 대학 소재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위치해야 함

 

신청 방법 및 기간

  • 신청 기간 : 2025년 2월 4일(화)  ~  3월 18일(화)
  • 신청 방법 : 재단 누리집과 한국장한재단 앱을 통해 신청가능합니다

 

 

 

상담 및 문의처

  • 전화 상담 : ☎ 1599-2000
  • 방문 상담 : 각 지역 센터에서 일대일 맞춤 상담 가능

 

지역 주소 전화번호 운영시간
서울청년창업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6 54 1 1599-2000 월 ~ 금
(09 ~ 18 )
부산청년창업센터 부산광역시 연제구 반송로 60 1
대구청년창업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23 89 1
광주청년창업센터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442 1
대전청년창업센터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843 1
경기지역센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52 디아이티 빌딩 4
강원지역센터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6호관214
전북지역센터 전라북도 전주시 백제대로 567, 전북대학교 ()정문
충북지역센터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 362번길 20 3

 

 

교통권 구분

교통권은 교통 여건을 고려하여 ①대도시권역, ②시지역, ③군지역으로 구분됩니다.

 

① 대도시권역(특별시·광역시 기준, 권역별 범위 설정)

구분 범위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 단, 인천광역시 옹진군 전체, 강화군 교동면·삼산면·서도면은 제외)
부산·울산권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남도 양산시·김해시·창원시·거제시·밀양시
대구권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경산시·영천시·청도군·고령군·성주군·칠곡군·의성군·청송군, 경상남도 창녕군
광주권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담양군·화순군·함평군·장성군
대전권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금산군, 충청북도 청주시·보은군·옥천군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1호 ‘대도시권’ 적용

 

② 시지역

  • 대학 소재지가 속한 시 기준, 인접한 시까지 동일 교통권으로 인정
  • ‘인접한 시’란 시의 경계를 맞닿고 있는 경우를 의미함

 

③ 군지역

  • 대학 소재지가 속한 군 기준, 해당 군지역 범위까지 인정

 

✅ 예외적 인정 기준

  • 원거리 인정 기준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통학이 불가능한 경우

 

지원 내용

  • 월 최대 20만 원 지급
  • 학기 중 지원 (계절학기 수강 시 방학 중에도 지원 가능)

 

지원 가능한 주거비 항목

  • 임차료(전·월세, 기숙사, 고시원 사용료 포함)
  • 주거 유지·관리비(수선유지비, 공동주택관리비 등)
  • 수도·연료비(전기, 가스, 상하수도, 연탄 등)
  • 주택임차·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

 

- 출처 교육부

 

2. 원거리 인정 예시 및 참여 대학

 

 

 

대학 소재지 부모님 주소지 지원 가능 여부 이유
서울특별시 경기도 성남시 수도권 내 동일 교통권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서로 다른 대도시권역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진주시 시지역으로 인접한 시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남원시 서로 다른 교통권(인접 시 아님)

 

 

 

2025학년도 국가장학금 2차 신청 안내

 

 

📌 신청 기간: 2025년 2월 4일(화) ~ 3월 18일(화)
📌 신청 대상

  • 신·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
  • 1차 신청을 놓친 재학생(재학생은 2차 신청 시 구제 신청 필요)
    📌 지원 금액: 학자금 지원구간에 따라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지원

 

📌 신청 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 한국장학재단 모바일 앱
    📌 필수 제출 서류: 신청 후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필요(부·모 또는 배우자)
    📌 문의: 한국장학재단 ☎ 1599-2000

 

 

2024.11.27 - [돈버는 일상생활] - 2025년 국가장학금 혜택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2025년 국가장학금 혜택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높아지는 물가와 높은 학비에 대한 부담으로 국가에서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장학금이  더욱 확대된 혜택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1. 25년도에 국가장학금이 변경된 점 국

m-goldtree.money-goldmountain.com

 

 

 

 

 

 

✅ 국가장학금 + 주거안정장학금 중복 신청 가능!

 

📢 기간 내 신청하고 등록금 부담을 줄이세요!

 

 

 

 

모바일 신청 예시

 

 

 

 

PC 홈페이지 신청 예시